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임신 중 변비 원인과 해결법

by sunny J 2024. 9. 11.
반응형
○ 임신 중 변비 원인
○ 임신 중 호르몬변화란?
○ 임신 중 변비 해결법

임신 중 변비 원인

임신 중 변비는 매우 흔하며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1. 호르몬 변화: 임신 중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증가하면 장의 평활근이 이완되어 소화 과정이 느려지고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
2. 자궁 크기 증가: 성장하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해 자궁이 확장됨에 따라 장에 압력을 가하여 대변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.


3. 식단의 변화: 임산부는 메스꺼움, 음식 혐오 또는 갈망으로 인해 식단을 변경할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때로는 섬유질 섭취량이 줄어들어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
4. 철분 보충제: 많은 산전 비타민에는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 


5. 수분부족: 임신 중 산모 및 태아의 양수로 인해 평소보다 많은 충분한 물섭취가 필요하고, 이로 인한 수분부족은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
6. 신체 활동 감소: 일부 여성은 임신 중에 활동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, 신체 활동 감소로 배변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


7. 스트레스 및 불안: 정서적 스트레스는 소화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고 잠재적으로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
8. 유당 불내증: 일부 여성은 임신 중에 유당 불내증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으며, 이는 유제품 섭취 시 설사나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임신 중 호르몬 변화란?

임신 중 호르몬 변화가 생기면서 실제로 소화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임신 호르몬이 설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1. 프로게스테론: 임신 중 주요 호르몬 중 하나인 프로게스테론은 위장관을 포함하여 몸 전체의 평활근을 이완시킵니다. 이러한 이완은 배변을 느리게 하고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 


2. 에스트로겐: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을수록 장 민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배변 습관의 변화에 ​​기여할 수 있습니다. 에스트로겐은 소화 효소의 생산 및 방출에 영향을 주고 장내 세균의 균형을 변화시켜 소화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3. 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(hCG): 임신 초기 단계에서 hCG 수치가 높으면 메스꺼움과 구토가 유발되어 배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hCG 자체는 설사보다는 메스꺼움과 더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, 입덧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식이 변화는 배변 습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4. 릴랙신: 임신 중에 증가하는 호르몬인 릴랙신은 골반 인대를 이완시키고 자궁 경부를 부드럽게 하여 출산을 위한 신체 준비를 돕습니다. 또한 위장 운동에 영향을 주어 잠재적으로 설사 및 변비를 포함한 소화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임신 중 변비 예방 및 해결방안

1. 섬유질 섭취량 늘리기: 과일, 야채, 통곡물, 콩류를 더 많이 섭취하세요.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대변의 양을 늘리고 규칙적인 배변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2. 수분 섭취 유지: 하루 종일 물을 충분히 섭취하세요. 적절한 수분 공급은 변을 부드럽고 쉽게 배설되도록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3. 소량의 식사: 때로는 소량으로 자주 식사하는 것이 소화기관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4. 프로바이오틱스 섭취: 요구르트와 같은 프로바이오틱스가 함유된 식품은 장내 세균의 건강한 균형을 유지하고 소화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5. 규칙적인 운동: 걷기나 수영과 같은 가벼운 신체 활동은 장 기능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 

 

6. 산전 비타민 검토: 산전 비타민, 특히 철분 보충제가 변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변비가 계속된다면 병원에 내원하셔서 복용하던 산전비타민이 나와 맞는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


7. 대변 연화제 및 약물사용 : 변비가 지속된다면 담당 의료진과 상담하여 좀 더 원활한 대변활동을 위해 연화제 혹은 약물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.

 

오늘은 이렇게 임신 중 변비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

반응형